반응형 심리학 이야기6 우울한 감정도, 불안한 감정 모두 습관입니다. 우리 뇌는 즐겁고 행복한 기억보다는 괴롭고 힘들었던 감정을 더 강렬하게 받아 들인다고 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칭찬보다 험담에 더 집착하고 취약한 감정을 분출합니다. 좋은 말보다 상처준 말을 가슴 깊이 새기고 오랜 시간 힘들어 하는 거예요. 걱정의 96%는 쓸데 없는 거라고 하네요. 쓸데없는 불안. 우울한 마음도 불안한 마음도 나를 힘들게 하는 감정을 자주 느끼는 것도 습관입니다. 감정은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행복한 감정도 습관이 될 수 있고, 괴로운 감정 역시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정은 경험과 상황에서 발생하며, 자주 느끼는 감정과 어떤 감정이 힘들게 만드는지 알아차리는 것은 감정적인 지혜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선, 자주 느끼는 감정을 한 .. 2023. 9. 16.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7가지 조언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때로는 참 어려운 벽에 부딪힐 때가 있죠. 하지만 이 어려움을 그냥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헤쳐나가면서 더 나은 인간관계를 만들고 싶다거나 '나'라는 사람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싶어서 글 적어볼게요. 1. 자기를 알고 받아들이기: 인간관계의 시작 먼저, 자신을 더 잘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받아들이면 자기를 편안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나의 모습을 인정하세요. 상대방과의 갈등이나 문제가 생겼을 때, 자신의 감정을 먼저 분석해보세요. 그렇게 하면 감정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비난하거나 자책하지 말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해보세요. 자신의 가치를 알면서 상대방과 더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답.. 2023. 8. 22. 낯선 사람과의 대화가 행복감을 주는 이유 "모르는 사람은 위험하다"? 요즘 세상이 하도 의심스럽다 보니, 낯선 사람을 경계하고 낯선 이들과의 상호작용을 꺼리는 이들이 아주 많습니다. 선정적인 언론 보도와, 곤두박질치는 사회적 신뢰는 경계심을 키우게 만드는 것을 습관화하게 하니까요. 경찰과 교사, 부모, 종교지도자, 정치인, 언론인, 아동 복지 단체는 저마다 입장이 다소 달라도, 낯선 이와의 상호작용이 위험할 수 있다는 데는 모두가 같은 생각이라고 입을 함께 모으지요. 하지만 그저 오가며 말을 섞는 것이라도 전에 만난 적 없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면, 우리는 더 현명하고 행복해질 수 있다면 어떨까요? 분명 낯선 사람들로 인해 충격적인 경험을 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르는 사람은 위험하다"는 정서를 통계적으로 뒷받침하는 근거는 부족합니다... 2023. 1. 4. 왜 비난은 칭찬보다 더 오래 마음에 남을까 학교에서 선생님이 침착하게 건넨 비판이든, 친구나 연인과 열띤 논쟁을 벌이다 던진 잔인한 말이든 사회생활을 하면서 직장동료로 부터 듣는 말이건 간에 우리는 긍정적인 말보단 비판을 훨씬 더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신체의 부상은 몇 주가 지나면 치유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말을 들은 경험은 평생 따라다니며 괴로움으로 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한 적이 많을 것입니다. 이것을 이른바 '부정성 편향(negativity bias)'이라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보편적으로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말입니다. 호주 퀸즐랜드대학의 사회심리학자이자 '부정성 편향: 어떻게 이용하고 극복할 것인가'의 공동저자인 로이 바우마이스터는 부정성 편향으로 인해 사람은 위협상황에 특별히 주의를 기.. 2023. 1.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